티티카카 호반에 > DKPC 나눔터

본문 바로가기

티티카카 호반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jwj
작성일 16-05-13 09:29

본문

인류가 농사를 짓기 이전에는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인류가 농사를 지을 모를 때에도 인류는 곡류를 먹고 살았을 것이다.? 인류가 농사를

짓게 되었는지를 생각해보면, 인류는 역시 곡류를 먹었었다는 것이 확인된다.?? 인류가

전에 먹어보지도 못한 곡물류를 먹어보려고 농사를 지었을 리는 없다.? 인류는 농사 짓기

전에도 곡물류를 수집해 먹었을 것이다.? 동물들이 먹으려고 갈무리 놓은 것을 빼앗아

먹었을 수도 있겠고, 바람이 들판 귀퉁이에 모아둔 곡식류를 긁어 모아서 먹었을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그들이 수렵을 해서 육류를 먹었을 수도 있겠으나, 육류만 먹지는 않았

것이다.? 육류만 먹다가 너무 지루해서 곡류도 먹어볼 생각을 했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

본다. 아무튼 인류가 곡류를 먹기 시작한 것은 인류를 위하여 참으로 다행스러운 것이

생각한다. 지구상에는 동물 류보다 식물류가 많이 자라고 있는 것을 보아도 그렇다.

?

창조주의 사려 깊은 설계는 놀랍기 그지없는 것들이 헤아릴 없이 많다.

창조주는 지금으로부터 육천여 전에 있을 지각변동에 대한 준비도 빈틈없이 두셨다.

당시에 지구의 지각변동과 기후변화가 극심했던 것들이 고고학자들에 의해 밝혀진

들이 수없이 많이 기록되어 있다. 중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이 홍수였는데, 홍수에 대한

고대 사람들의 두려움은 그들을 높은 산으로 옮겨 사는 결단을 내리게 했다.? 결과로

데스산에 거주하는 원주민들이 생기게 되었다고 한다. 해발 3,800 미터의 고원에 사람들이

살게 것을 미리 아신 창조주께서는, 그곳 기후에 자랄 있는 곡식 종류를 그곳에

비해 두셨을 것이다.? 해발 3,800 미터 고지인 티티카카호숫가에서 자라고 있는 퀴노아

있는데, 페루인들과? 볼리비아인들이 곡식을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식용으

삼고 있으며, 지금은 세계 여러 시장에 수출하고 있다.

?

쌀의 원산지가 중국이라는 것을 확인하면서, 하나님의 섭리에 새삼 놀라움을 멈출 없다.

중국인의 인구가? 13억에 이를 어떻게 아시고, 중국 넓은 지역 전반에 걸쳐, 벼들이

자랄 있게 하셨을까? 처음에야 중국 남쪽지방의 진주(Pearl ) 가에서 기원전 1 3

5 전부터 벼가 자라게 하셨다가, 이어서 양자강 유역을 위시한, 중국 전역으로 퍼지게

하시고 아시아 지역으로 퍼지게 하셨다. 아시아에 쌀이 생산되지 않았더라면, 얼마나

많은 아시아인들이 식량난을 당하게 되었을까, 생각할수록 감사해야 분이 창조주이시다.

?

지금은 티티카카? 호반에서 자라고 있는 퀴노아(Quinoa)이지만,? 머지않아서 곡식도

시아를 비롯한 세께 전역으로 퍼져 재배되리라 믿는다. 특별히

댓글목록

profile_image

윤선옥님의 댓글

윤선옥 작성일

캄보디아 방문시, 드넓은 황토흙과 수로들은 벼농사 짓기에 정말 적합한데 땅을 놀리고 있어서 참 아깝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알아보니 폴포트 정권 전에는 캄보디아가 벼농사의 곡창지대로 최대 쌀 수출국이었습니다. 공산당정권은 킬링필드로 악명높게 된 엘리트의 떼죽음을 초래해서 지금도 아무 것도 제대로 해내지 못하는 비극의 연장선을 보게 됩니다.먹거리가 부족한 것은 우선 지혜를 짜내어 기술을 개발하고 부지런히 움직이면 해결될 것 입니다. 이곳 저곳 둘러보면 경작할 수 있는 광활한 대지를 많이 보게 됩니다. 지도자가 국민을 잘 훈련시키고 영감을 불어넣어 열심을 내도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각 나라를 방문해 보면 깨닫게 됩니다. 물론 새로운 먹거리에 대한 연구도 꼭 필요한 일이지만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많은 먹거리와 약초를 주셨는데 탐구심없이 게으르게 알아볼 생각도 하지 않으면 좀 그렇겠지요.

profile_image

jwj님의 댓글

jwj 작성일

사람에게 언제부터 이런 습성이 생겼는지는 모르겠지만, 여유로워지면 게을러지고, 궁핍해지면 부지런을 떨게 되지요.
그런데 어떤 부류의 사람들은 천지개벽이 되어도 부지런해 질 수 없는 부류의 사람이 있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