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헤아리는 밤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3-06-27 23:44
본문
별을 헤아리는 밤에는 별을 헤아리는 사람에 따라 각기 다른 결론을 얻을 것이다
‘헤아리다’ 라는 낱말의 뜻을: “수량을 세다” 라는 뜻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아마,
달이 뜨지 않은 깜깜한 밤에, 도시의 불빛이 닿지 않는 어떤 벌판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육안(naked eye)으로 별 세기에 적합한 장소는 이런 곳이어야 하기 때문
이다.
?
'헤아리다' 라는 낱말의 뜻을: “생각으로 가늠하여 따지고, 미루어 생각하다” 라는 뜻
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아마, 여러 가지 천문학적 근거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며,
이미 발표된 천문학자들의 보고는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증거가 없다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
How many Stars are in the Universe? (우주 안에는 얼마나 많은 별들이 있을까?)
라는 질문에 대한 천문학자들의 보고서는, 천차만별(千差萬別)로 다른 기록들이 있다.
천문학적 숫자의 개념은 추정치(推定値), 즉 presumption일뿐이다.
?
**Man states that 100 billion stars in our galaxy.
And it’s thought that the universe holds up to 400 billion galaxies.
(학계의 사람이 말하기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은하에는 1천억 개의 별이 있다고
생각하며, 우주 전체가 안고 있는 공간에는 4천억 개가 넘는 은하가 있는데,
우주 전체의 별 수를 알려면 1천억 개 X 4천억 개를 곱하면 된다.)
?
**Generally Scientist believe there are 100 billion to a trillion galaxies
in the universe. And each galaxy- the Milky Way include- was thought
to have 100 billion to a trillion stars.(일반적인 과학자들의 생각으로는, 우리
은하를 포함하여 전 우주에 약 1천억 개에서 1조 개의 Galaxy가 있으며, 우주에
있는 각각의 Galaxy(은하계)마다 약 1천억 개에서 1조 개의?별이 있다고 믿는다.)
?
**Usually said, 100 billion galaxies, each with 100 billion stars,
(보편적으로 1천억 개의 Galaxy 가 각각 1천억 개의 별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
위와 같은 다양한 학계 보고가 있는 것은 천문학자 마다 조금씩 다를 생각을 한다
는 것이 되겠고, 이렇게 다른 생각과 주장들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국제협의체가 있
으며, 이 협의체가 그들의 천문학을 이끌어 가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
별 헤아리는 밤에 대하여는?계속됩니다.?- 이전글앗, 벌써 6월의 마지막... 13.07.01
- 다음글마음이 아름다워지는 화장품 13.06.14
댓글목록

이은이님의 댓글
이은이 작성일앞에 올렸던 "꿈꾸지 않으면.." 이라는 곡에서 "별 헤는 맘으로 없는길 가려네" 가 솔직히 무슨 뜻인지 좀 이해 하기가 어려웠었는데...<br />이제 조금 알것 같네요. 다 셀수 없는 무지 많은 별들이라 아무리 별을 헤아려도 끝은 없지만, 아무리 끝이 안보인다 해도 아주 작은 숫자를 세어 나가듯이, 아주 작은 변화를 조금씩이라도 많들어 가겠다... 뭐 그런 뜻인거지요? ㅎㅎ<br />별 헤아리는 밤, 다음편이 기대됩니다. ^^

jwj님의 댓글
jwj 작성일우주에 있는 별 중에서 우선 우리가 살고 있는 은하의 별 숫자를 세려 해도 다 셀 수가 없어서,<br />추측으로만 정하여 보았다는 것입니다. 그것도 일반인이 추측한 것이 아니고, 천문학 박사라는<br />사람들이 심각하게 생각해 본 결과 그것이 대략 1천억 개에서 1조 개로 추정했다는 것이지요.<br />이런 추측을 하기 위해서 일평생의 시간을 허비한 것이, 과연 학문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br />그러나 우리가 선교의 길을 가는 중에 한 영혼만 얻어도 얼마나 값진 구혼의 결실이겠습니까?<br />천문학자들이 평생을 걸려 상상해 낸 허상의 결실에 비해, 한 영혼이 얼마나 더 확실한 숫자 입니까?